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참사를 되풀이하지 말자며 기획한 ‘이젠 꼭 바꾸자’ 시작합니다. <br> <br> 이태원 참사, 오늘로 2주가 흘렀습니다. <br> <br> 이번 참사에서 가장 안타까웠던 부분은 다른 나라들에서 이미 겪었던 비극과 시행착오를 우리가 그대로 반복했다는 점입니다. <br> <br> 오늘은 독일, 사우디, 일본 사례를 점검합니다. <br><br>김성규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2010년 7월, 축제의 현장이 아수라장으로 바뀐 독일의 테크노 음악 축제 현장. <br> <br>구급차 소리가 울려 퍼지는 가운데 사람들이 벽 위로 필사의 탈출을 시도합니다. <br> <br>공연장으로 향하는 터널에 사람들이 몰리면서 21명이 압사하고 600명 넘게 다쳤습니다. <br> <br>사고 이후 독일 정부가 공을 들인 재발방지책은 대응 매뉴얼 마련입니다. <br> <br>2015년 교통·수송 분야 규범 및 표준 연구개발 위원회를 통해 사람들이 붐비는 곳에서 통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구조 경로는 어떻게 할지 등을 정리한 '교통 및 군중 관리 지침서'(EVC)를 만들어 매년 갱신하며 관리하고 있습니다.<br> <br>[전선하 / 독일 만하임 거주] <br>"행사가 일어나는 장소 안에 몇 명까지 수용 가능한지를 분석을 하는 것 같아요" <br> <br>일본은 2001년 11명이 압사한 효고 현 아카시시 불꽃놀이 축제 사고를 겪고 대규모 인파 관리에 눈을 떴습니다. <br> <br>[가와구치 도시히로 / 간사이대 사회안전학부 교수] <br>"좁은 길의 중앙은 초과밀 상태였는데 이를 모르는 사람들이 입구에 계속 들어왔죠. (이태원 참사와) 상황이 굉장히 비슷합니다." <br> <br>혼잡할 경우 일방통행으로 전환하고 인파의 흐름은 직선으로 유도하는 등의 '혼잡 사고 방지 매뉴얼'이 전국 경찰에 배포됐습니다. <br> <br>경찰 경비업무검정시험에 '혼잡경비' 항목을 신설해 경비 업무를 몸에 익히도록 한 것도 이때부터입니다. <br> <br>강력한 통제책을 동원한 나라들도 있습니다. <br><br>2015년 성지 순례객 769명이 압사한 사우디아라비아는 성지 순례객들에게 위치 정보가 내장된 전자 팔찌를 채우는 초강력 대책을 시행 중입니다. <br> <br>시간별로 인원이 제한된 순례객들은 전자팔찌를 차야 인근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[김효석 /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한인회장] <br>"그 사람들이 어디를 다니나 보려고 GPS 칩이 내장된 전자 팔찌를 이용해서 통제를 한다고 들었습니다." <br> <br>각국의 매뉴얼도 연구하며 실정에 맞는 재발방지책을 세우는 지혜가 요구되는 시점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성규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김호영 <br>영상편집 김문영